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최원삼 [Choe Wonsam]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서예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
1936년 3월 21일
사망일
미상
출생지
평양시 중구역 만수동
정의
‘청봉체’를 다각적으로 연구한 북한의 서예가이자 조선화가, 교육자이다.
내용
5세 때부터 아버지를 따라 글씨를 배웠다. 1947년 평양 제3인민학교 재학 시 수채화 <대동강반에서>, 서예 <우리나라>로 ‘전국소년미술전람회’ 1등을 수상하였다. 1954년에 평양미술대학 조선화과에 입학하여 정종여에게 그림을 배웠다. 1959년부터 1989년까지 30년간 모교에서 조선화강좌 교수, 서예강좌장으로 재직하였다.
졸업작품으로 제작한 조선화 <고난의 행군>(1959)은 리석호의 지도 아래 그린 작품이다. 대학 재직 중 조선화 <승리 1010호의 첫 조립>(김기만과 합작, 1961), <전선의 승리를 위하여>(1965), <잉어>(1966) 등을 창작하였다. 최원삼은 화가보다 서예가로서 유명하다. 1968년 처음으로 양덕군 은하리 자연바위에 글을 쓰기 시작하여, 이후 <만경대갈림길유래비>(1970), <김일성정치대학사적비>(1994)를 비롯한 20여개 대상의 유래비, 사적비들의 글씨를 썼다. 1978년 옥류관, 1980년 통일각의 현판 또한 그의 작품이다.‘국가미술전람회’를 비롯한 여러 전람회에 <만수축원> 등의 일반 서예 작품을 출품하였다. 1989년 서예 작품 60여 점으로 조선미술박물관에서 개인전람회를 개최하였다. 1996년 이후 원로미술가들로 구성된 송화미술원에서 창작하였으며 이 시기의 대표작은 <창성대설>이다. 저서로는 정종여 등과 집필한 교과서 『몰골기법』, 『조선화기법』이 있으며, 『글씨본』, 『글씨기초』, 『서예』 등도 집필했다.
최원삼은 대중보급과 일반화를 위하여 ‘청봉체’를 다각적으로 연구하여 서예유산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는 북한미술계의 평가를 받고 있다. 1980년 공훈예술가, 1983년 부교수 학직, 1987년 학사학위를 수여받았다.
관련어
평양미술대학
,
정종여
,
리석호
,
이석호
,
청봉체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역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