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최옥삼 [Choe Oksam]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음악 > 민족음악 > 연주가
9분류
인물
집필자
배인교
출생일
1905년 7월 25일
사망일
1956년 3월
출생지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건사리 518번지
정의
1950년대까지 활동했던 월북 국악인이자 가야금산조와 단소, 대금의 명인으로, 많은 창작곡이 있으며 교육자로서도 많은 활동을 하였다.
용례/관용구
최옥삼은 불행하게도 스승 김창조가 3년밖에 그를 가르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자 고향에 돌아와 1929년 전국명창대회에서 입상한 후 장흥 신청이라는 곳에서 대금을 가르쳤다. 당시 장흥흡 기양리 남산 밑에 있다가 일제 때 없어진 신청에서 그는 제자 함동정월을 길러냈다.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어려서부터 음악적 재질이 뛰어나 읍에 있는 예술전습소에 다니며 가야금을 배웠다. 후에 한성기에게 가야금을 배웠으며 단소도 배워 단소연주가로도 활동하였다. 1937년부터 원산음악양성소에서, 1942년에는 함흥음악양성소에서 교원으로 활동하면서 대금, 아쟁, 장고 등을 배웠으며 강원도 통천으로 이주하여 민족기악곡들을 창작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평양에 소환되어 최승희무용연구소 연주가로 활동하였다. 그는 여기에서 가야금, 대금, 단소, 아쟁 등을 연주하여 절찬을 받았다. 1952년에는 평양음악대학 민족음악학부 겸임교원으로 활동하면서 많은 후진을 양성하였으나 1956년에 불치의 병으로 사망하였다.
최옥삼은 가야금곡 <안땅산조>, <살풀이>, <진양조>, <평조우조>, <중모리>, <평조1, 우조2>, <중중모리>, <휘모리>, <다스림>, <엇모리> 등과 단소곡 <다스름>, <신아우>, <진양조와 중모리>, <안땅>, <중모리>, <리별곡>, <초연곡>, 대금연주곡으로 <은하수>, <구룡폭포를 찾아서>, <진양조>, <봉장취>, <봉장취(봉황곡)> <중중모리>, <살풀이>, <다스름>, <청성곡> 등이 있다. 이중 대금독주곡 <은하수>와 <구룡폭포를 찾아서>는 ‘세계청년학생축전’(6차와 7차)에서 금메달을 받았으며 1983년 ‘제6차 아시아음악연단’에서 명곡으로 등록되었다.
남한에서 최옥삼은 가야금산조의 명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제자 함동정월에 의하여 유음이 전해져 현재 최옥삼류가야금산조가 전승되고 있다.
관련어
월북국악인
,
평양음악대학
동의어
최막동
,
崔玉三
관련자료(북)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하』,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6.
참고자료
김덕균·김득청 외, 『조선민족음악가사전 (상)』, 연길: 연변대학출판사, 1998.
이미지
최옥삼
이미지명 : 최옥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