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김광일 [Kim Kwangil]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유화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
1921년 4월 5일
사망일
1984년 3월 13일
출생지
평안남도 강서군 옹진면 탄포리
정의
김광일은 출판미술계에서 활동한 유화가이자 수채화가이다.
용례/관용구
그의 작품의 특성은 형태가 선명하고 색채형상이 연하고 부드러운 것이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1927년부터 1935년까지 약송공립보통학교, 상수공립보통학교에 다녔다. 1937년 서울 용산철도종업원양성소 전신과를 거쳐 평양역의 유선통신사, 열차 차장으로 일했다. 1942년 수채화로 전람회에서 입선하였다. 해방 후 평양철도부, 교통운수국에서 일하며 꾸준히 전람회에 작품을 출품하였다. 1948년 말 신문기자로서 1951년까지 삽화를 그렸다. 이후 조선미술가동맹의 지도원으로 창작활동을 시작하였다. 6.25 전쟁 시기 조선미술가동맹 상무지도원, 전후에는 미술가로서 활동하였다. 1959년 3월부터 9월까지 소련, 독일, 헝가리 등을 방문하였다. 1961년부터 조선미술가동맹 평안남도지부장, 1966년부터 동맹의 중앙위원을 지냈다. 1967년부터 1976년까지 출판화분과 위원장으로 창작 지도하였다.
해방 전의 작품은 정물화 위주였다. 이후 자연주의적인 화풍에서 벗어나 현실반영적인 작품을 그리기 시작하였다. 김광일은 유화, 수채화를 주로 제작하였다. 대표작은 유화 <출발을 앞둔 한남수영웅>(1955) 등을 들 수 있다. 김광일의 풍경화 대표작은 유화 <바다>(1965), 수채화 <삼지연>(1970), <여름>(1996)이다. 김광일의 풍경화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풍경에 따른 정서를 세심하게 포착하였다고 평가받는다. 이외에 선전화, 민청휘장 도안, 소년단휘장 도안, 인민상메달 도안 등의 장식도안을 제작하였다. 이외 논설 「출판화에서 수령의 형상을 창조하자」 등의 글을 통해 출판미술의 형식을 다양하게 발전시키자고 주장하였다.
김광일은 습작을 통하여 대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묘사하였고, 이러한 그의 개성에 대하여 북한 미술계에서는 진실하고 생동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