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민족가극 [national opera]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종합공연 > 가극
9분류 개념
집필자 전영선
시기1980년대 후반
정의
민족가극의 사전적 의미는 각 민족의 특성을 반영한 가극 또는 민족마다 발전시킨 가극 형식을 의미하지만, 북한에서는 민족적 소재를 <피바다>식 혁명가극으로 재창작한 가극을 의미한다.
내용
중립적 의미에서 민족가극은 민족국가 단위로 창작 보급되는 가극을 의미한다. 1960년대에는 창극 및 대중극단의 가극(악극)을 개조하고 서도민요를 바탕으로 만든 ‘민족가극’이 있었다. 이것은 그리 오래가지 못하고 1970년대 이후 혁명가극의 등장과 함께 사라졌다. 북한에서는 말하는 민족가극은 1980년대 후반 <피바다>식 혁명연극의 형식에 민족적 내용을 담은 가극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민족가극으로는 민족가극 <춘향전>(1989), 민족가극 <심청전>(1993) 등이 있다. 민족가극은 ‘조선민족제일주의’가 강조되던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었다. 김정일은 1988년 12월 19일 민족가극 <춘향전> 창조사업단에게 민족문화유산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과업을 지시하였다. 김정일 지시의 핵심은 ‘민족문화를 강조한다고 해서 과거로 돌아가는 복고주의에 빠지지 말고, 민족문화 유산이 오늘날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민족 허무주의도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관련어 혁명가극, 가극
관련연구(남) 천현식, 「북한 가극의 특성과 변화: 혁명가극에서 민족가극으로」, 박사학위논문, 북한대학원대학교, 2012.
전영선, 『고전소설의 역사적 전개와 남북한의 춘향전』, 서울: 문학마을사, 2003.
관련자료(북) 김정일, 「혁명가극 <<피바다>>는 우리 식의 새로운 가극」, 1971년 7월 17일.
최경수·김용세, 『가극과 연극감상』, 평양: 문예출판사, 1983.
참고자료 『민족가극 춘향전 종합총보』, 평양: 문예출판사, 1991.